2025년, 청년(만 19~39세)을 위한 광역알뜰교통카드 제도가 강화되었습니다.
국토부 ‘K-패스’와 경기도 ‘The 경기패스’를 중심으로, 대중교통비를 최대 30% 절감할 수 있는 최신 혜택을 정리했습니다.
1. K‑패스란?
- 할인율: 청년층 30% 환급 (최소 15회 이상 이용 시)
- 적용 대상: 지하철, 시내·광역버스, GTX, 마을버스 포함
- 적립 상한: 월 최대 60회까지 환급
2. 적립 예시
청년 기준 교통비 환급 예시:
- 1회 1,500원 이용 시 → 450원 환급 → 실사용 1,050원
- 1회 3,000원 이용 시 → 900원 환급 → 실사용 2,100원
3. The 경기패스 (경기도민 전용)
- 대상: 경기도 거주 청년(만 19~39세)
- 혜택: K‑패스의 30% 환급 + 경기도 예산 추가 지원 → 최대 환급 가능
4. 카드/앱 신청 방법
-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는 앱에서 K-패스 전환
- 신규 신청자는 해당 지역 카드사 또는 공식 웹사이트(korea-pass.kr) 통해 발급
- 경기도 거주자는 “The 경기패스” 자동 적용 가능
5. 유의사항
- 월 최소 15회 이상 이용해야 환급 적용
- 전국 대중교통(지하철·광역버스·GTX 등) 이용 시에도 혜택 유지
- 국가 사업으로 2025년 5월부터 정식 시행됩니다
6. FAQ
Q. K‑패스와 알뜰교통카드는 어떻게 다른가요?
A. 알뜰교통카드는 마일리지 적립 방식, K‑패스는 교통비의 일정 %를 환급(사후환급) 형태입니다.
Q. GTX 이용 시도 환급되나요?
A. 네, GTX 포함 전국 대중교통에서 환급됩니다.
Q. 경기도민이면 자동으로 The 경기패스 이용 가능한가요?
A. 해당 지역 거주자라면 환급율 혜택이 자동 적용됩니다.
7. 마무리 체크리스트
- □ 만 19~39세 청년인가요?
- □ 광역 교통수단을 월 최소 15회 이상 이용하나요?
- □ 알뜰교통카드 또는 앱 설정이 완료되었나요?
- □ 거주 지역이 경기도라면 The 경기패스도 확인했나요?
청년층 대상 광역알뜰교통카드(=K‑패스 + The 경기패스)는 대중교통비 부담을 줄이고 활동 범위를 넓히는 훌륭한 정책입니다. 신청과 설정만으로 이용하실 수 있으니 지금 바로 확인해보세요!
'정부 지원 제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복지지원 #18] 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– 2025년 선정 기준과 급여액 총정리 (0) | 2025.07.27 |
---|---|
[청년정책 #14] 청년복지포인트/카드형 바우처 – 복지포인트로 문화생활 누리기 (7) | 2025.06.09 |
[청년정책 #12] 청년내일배움카드 – 최대 500만 원 직업훈련비 지원받는 법 (2) | 2025.06.09 |
[청년정책 #11] 청년 창업지원 – 창업패키지, 시제품 제작, 임대료 지원 총정리 (2) | 2025.06.09 |
[청년정책 #10] 청년공공임대주택 – 보증금 없는 전세, 서울시 청년주택 포함 (0) | 2025.05.26 |